사용자 삽입 이미지

무관관직

1품 대장군(大將軍) : 상설기관은 아니지만 무관 최고위직. 삼공보다 상위직이다. 독자적으로 장군부(將軍府)를 열어 정치에 관여할 수도 있다. 대장군과 별도로 2품의 중군대장군(中軍大將軍), 하군대장군(下軍大將軍), 진군대장군(鎭軍大將軍), 무군대장군(撫軍大將軍), 남중대장군(南中大將軍), 보국대장군(輔國大將軍)이 있다.


2품 표기장군(驃騎將軍) : 삼공 아래의 상설기관. 평상시에 군을 통솔하는 최고위 무관. 군을 총지휘하는 장군.


2품 거기장군(車騎將軍) : 표기장군 다음의 고위직 무관. 전차부대와 기병부대를 총지휘하는 장군.


2품 위장군(衛將軍) : 거기장군 다음의 고위직 무관. 황제의 경호 및 궁궐 수비 등의 임무가 있다.


2품

중군대장군(中軍大將軍)

하군대장군(下軍大將軍)

진군대장군(鎭軍大將軍)

무군대장군(撫軍大將軍)

남중대장군(南中大將軍)

보국대장군(輔國大將軍)


2품:(四征)장군

정동장군(征東將軍)

정서장군(征西將軍)

정남장군(征南將軍),

정북장군(征北將軍)

-표기장군의 지휘를 받는다.


2품 (四鎭)장군

진동장군(鎭東將軍)

진서장군(鎭西將軍) 

진남장군(鎭南將軍)

진북장군(鎭北將軍)

-거기장군의 지휘를 받는다.


3품 이하의 기타 장군직

전장군(前將軍),

후장군(後將軍)

좌장군(左將軍)

우장군(右將軍)

- 대장군 아래 일곱 장군. 전투시 대장군의 지휘를 받는다.


안동장군(安東將軍)

안서장군(安西將軍)

안남장군(安南將軍)

안북장군(安北將軍)

-위장군의 지휘를 받는다.


평동장군(平東將軍)

평서장군(平西將軍)

남장군(平南將軍)

평북장군(平北將軍)

-전장군의 지휘를 받는다.


파동장군(破東將軍)

파서장군(破西將軍)

파남장군(破南將軍)

파북장군(破北將軍)

-후장군의 지휘를 받는다.


정로장군(征虜將軍)

안원장군(安遠將軍)

평구장군(平寇將軍)

보국장군(輔國將軍)

-좌장군의 지휘를 받는다.

 

호분장군(虎賁將軍)

호아장군(虎牙將軍)

도료장군(渡遼將軍)

보한장군(輔漢將軍)

-우장군의 지휘를 받는다.



평난장군(平難將軍)

양렬장군(揚烈將軍)

양무장군(揚武將軍)

양위장군(揚威將軍)

어림장군(御林將軍)


편장군:

비장군


중랑장

오관중랑장(五官中郞長)

좌중랑장(左中郞長)

우중랑장(右中郞長)

호분중랑장(虎賁中郞長)

우림중랑장(羽林中郞長)


교위직

1교위 : 대장군 배하의 군관. 제 3등관으로 연대장이라 할만한 자리. 오부로 갈려있었다.


2교위 : 여단장급의 군관직 월기 교위, 중루 교위, 사성 교위 등 팔 교위가 있으며, 도성 밖에 주둔하는 군대를 거느린다.


기도위 :중랑장과 같이, 황제의 시위를 관장하는 광록훈에 속하며, 기병 담당으로 정원이 10명 이었다. 제 3등관으로 근위 기병 연대장쯤의 직책


봉군도위 : 천자의 수레에만 배승하는 근위 기병의 연대장격. 제 6등관(2천석).


북도위 : 각군(各郡)의 방비와 치안을 맡아 보던 제3등관(2천석)의 군관. 후한에서는 필요있을때마다 중요한 지점에 두었다. 사단장 쯤이라면 알맞겠다.


사예교위 : 한나라 13주 가운데, 도성에 가까운 일주 칠군만은 3등관인 사예교위가 통괄하였다. 교위라 한 것은 군사권까지를 겸해쥐고 있었던 때문인 것 같다.


성문교위 : 낙양의 도성의 열 두 성문을 지키는 위병 사령관. 3등관(2천석).


영군도위 : 연대장 격의 군관으로 생각된다.


월기교위 : 팔 교위의 하나로 도성 밖에 주둔하는 군대를 통솔한다. 월인(越人)으로써

조직된 기병대였다는 설이 있다. 기병 여단장격.


장수교위 : 상비군의 부대장으로서 여단장 격. 2등관(2천석)


절충교위 : 적벽대전때 조조의 부하 악진이 '절충장군'이었던 데서 비롯된 요직 군관으로서, 여단장 격. 절충이란 적을 무찔러 꺾는다는 뜻이다.


효기교위 : <백관지(百官志)>나타나지 않는 관명이지만 근위기병에는 효기라 칭하는 것 이 있었으며, 삼국 분립 후에는 위에 효기 장군이란 것이 있었다. 제 4등관으로서, 근위 기병의 여단장 격.


이상 무관 총 17명



 


 

문관관직

한대의 중앙정치제도는 삼공구경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, 삼공에는 승상,어사대부, 태위로 구성 되었다.


삼공: 승상, 어사대부, 태위
구경: 태상, 광록훈, 위위, 태복, 정위, 대홍로, 종정, 대사농, 소부
황제 직속 기관: 내조, 사예교위, 부자사



승상(承相) : 국가 행정 최고 책임자. 황제를 보좌하여 회의를 주재하고 정책 수립과 결정을 보필하였다.


어사대부 : 승상 다음의 고위관리. 관리의 비행에 대한 감찰과 탁핵임무와 황제의 비서 역할을 하였다.


태위 : 군사 방면 최고 책임자.

태상 : 황실의 종묘와 제례를 주관 (태사령과 태의령이 포함)
광록훈 : 황실과 궁중 제관의 감시와 통솔(태중태부, 광록대부, 간대부, 후한에 생긴 간의대부등이 이에 속한다.)
위위 : 황실과 궁성 수비.
태복 : 황실의 기마와 말을 관리.
정위 : 형법과 사법업무 주관.
대홍로 : 제후왕, 열후 및 주변 이족 군장들의 입조와 조공에 대한 출영과 접대.
종정 : 황실 종실과 외척의 생활에 대한 감시와 책임.
대사농 : 정부의 재정관리.
소부 : 황실에서 사용하는 재정관리.

내조 : 황제와 신하사이에 왕래하는 문서를 맡아보던 관직(황제의 비서, 상서와 시중이 이에 포함) 승상의 권력 약화와 더불어 비대해짐.

1. 상서- 상서령, 상서복야, 상서시랑, 상서좌승상, 상서우승상
2. 시중- 천자고문역할, 산기- 간언, 중상시- 천자의 시종관


사예교위 : 어떤 부서에도 속하지 않고 황제로부터 직접 임무를 부여 받아 결과를 직접 황제께 전달.(감찰감독)
부자사 : 지방행정관 관리에 대한 감찰감독으로 그 대상은 군수의 일반 행정과 호적에 대한 감시였다.




주요관직
간의대부: 광록훈의 속관으로 황제의 주변에서 간의,의론 등의 일을 맡아 보았다. 품질의 비 800석이고, 삼국시대에 제7품이었다. 진나라 때, 간대부라 부른 것을 후한시대에 간의대부로 개칭하였다.

공부시랑 : 공부는 영조, 공작에 관한 일을 맡아 보던 관청이며, 시랑은 성의 차관에 해당하는 관직으로 공부의 장관 상서의 부직이었다. 삼국시대에는 이런 관직이 없었지만, 연의에서는 왕자복이 이 관직을 지냈다고 하였다.

광록대부 : 조정의 고문관. 진나라 때, 9경의 하나인 낭중령의 속관으로 설치된 것이 한무제 때, 광록훈의 속관으로 마련 되었다. 삼공 다음가는 높은 종2품의 벼슬이었으나, 실권이 없는 명예직이다. 3등관, 녹봉2천석


광록훈 : 구경 가운데 하나로 궁중과 황실의 제관을 감독,통솔하였다. 태중태부, 광록대부, 간대부, 후한의 간의대부 등이 이에 속한다.

구경 : 황실과 중앙 정부의 정사를 처리하던 관직으로서 태상, 광록훈, 위위, 태복, 정위, 대홍로, 종정, 대사농, 소부가 이에 속한다. 삼공 바로 아래 최고위직이었다.

낭관 : 각 관청에서 문서의 일을 맡아보던 관직이다. 한나라 때에는 시랑과 낭중을 낭관이라 하였으나, 당나라 이후 낭중과 원외랑을 낭관이라 칭했다. 한나라 때는 상서의 보좌를 겸했고, 후에 각 사의 직무를 주관했다. 8등관 , 녹봉4백석

낭중 : 소부에 소속된 상서랑중의 약칭.
내조 : 황제와 신하 사이에 왕래하는 문서를 맡아보던 관직, 상서와 시중이 이에 속한다.

녹상서사 : 궁정의 문서를 맡던 관직으로 후한 장제 때 태부와 태위에게 이 직무를 겸하게 하여 시작된 관직이다. 화제 이후 상설 기관이 되고, 그 관위는 삼공 위에 있었다. 즉, 어린 황제가 즉위 할 때마다, 그를 대신하여 집정하고 재상직을 겸하였다. 현대의 내각총리와 같은 관직이다.

대사공 : 국가의 최고 관직 삼공의 하나, 사공과 같음
도독: 위 문제 때, 각 주의 군사와 자사의 관원을 통할하던 관직이다. 그러나, 후대에 이르러 산관의 명칭으로 사용하게 되었다.

독우 : 한나라 때 태수, 군수등의 보좌관으로 설치된 관직. 각 현의 행정감독을 주임모로 담당.

목 : 13주의 장관인 자사.
복야 : 관청의 주인, 또는 장의 직위.
비서랑 : 궁중의 도시 및 문서를 담당하던 관직. 명문자제로써 임명.
사도 : 삼공의 하나. 국가의 대사를 관장하는 국가 최고의 관직. 민적 일반과 교육을 관장. 녹봉 1만석

상 : 삼국시대에는 지방행정제도가 군국으로 나뉘어져 있었는데, 군에는 태수를 국에는 상을 두었다.

상국 : 재상을 말하는 것이나, 승상보다는 지위가 위며 특별한 경우에만 주어진다.

상시 : 정확하게는 중상시이다. 궁중의 일을 관장하는 황제의 사부인 소부에 속해있는 관리로 환관직종 중 최고위직이다. 십상시는 10명의 상시를 말한다.

승 : 현에 소속된 관리. 문서와 창고 및 감옥 일을 맡았다.
시강 : 천자 또는 황태자의 학문을 지도하던 관직.
시어사 : 감찰을 맡아보던 관직. 어사중승이 아래 관직이며, 녹봉 700석.
어사대부 : 승상 다음의 고위관리, 사공과 같다.

의랑 : 황제의 호위를 담당하는 부서인 광록훈 아래의 관직. 간의대부와 동격으로 6등관, 녹봉 600석.

자사 : 한 시대는 중국 전토를 13주로 나누고 주의 장관을 자사라 하였다. 5군 내지 12군을 통솔했다. 2등관, 녹봉 2천석.

장사 : 진한 때, 승상 및 태위의 속관으로 둔 관직.
전농 : 식량의 징수와 감독을 담당했던 관직. 대사농에 속했다. 낙양에는 2등관[녹봉2천석]의 전농 중랑장이 전농 도위와 함께 배치되어 있었다.


종사 : 보좌관에 대한 총칭.
주부 : 삼공부에서 군에 이르기까지 각 관청에 두었던 문서나 기록을 담당했던 관리.
태수 : 삼국시대 군을 다스리던 지방장관. 녹봉2천석.
태중대부 : 궁중의 의론을 맡아 보던 관직.
행군사마 : 장군의 보좌관. 녹봉 1천석.
현령 : 현의 장관. 녹봉 비 1천석.
현승 : 현령의 보좌관. 문서와 창, 옥을 다스렸다.
현위 : 현의 치안을 맡아보던 관직.
효렴 : 효도와 청렴한 사람을 지방관이 추천하여 벼슬길에 나선 사람을 말한다.


문관의 관직은 크게 외조와 내조로 나뉜다.

외조
1. 삼공 - 승상(최고관리), 태위(대사마-병사담당), 어사대부(대사공-왕명출납)
2. 경 - 정경(태상-종묘예의, 광록훈-궁문관리, 위위-궁문군사지휘, 태복-황실 기마관리, 정위-형법, 대홍로-외무담당, 종정-종궁담당, 대사농-농림재무관리, 소부-국세청업무)
열경(삼보-<경조윤, 좌빙익, 우부풍>으로 수도를 다스림, 집금오-수도치안, 장작대장-궁궐건설, 첨사-황실가사담당)

3. 삼사(태사, 태부, 태보-황제의 고문격), 태자대부- 태자지도, 수형도위-상림원관리)

내조(승상의 권력 약화와 더불어 비대)
1. 상서- 상서령, 상서복야, 상서시랑, 상서좌승상, 상서우승상
2. 시중- 천자고문역할, 산기- 간언, 중상시- 천자의 시종관


 


 

삼국지의 직위 (서열)

황제 : 중국의 지배자

왕 : 황제 다음의 지위

공 : 제후가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지위
승상 : 국가정치의 총책임자(국무총리)

태부 : 황제의 고문, 명예직

사공 : 토목, 군기지 건설 장관(건설교통부장관)

태위 : 군사 담당(국방부장관)

사도 : 민사 담당(농림부장관+산업자원부장관?)

광록훈 : 황제숙위 담당(경호실)

대사농 : 국가재정관리(재정경제부장관)

위위 : 궁전경비담당(경호실)

정위 : 국가법무담당(법무부장관)

중랑장 : 황제의 호위, 궁전의 경비(경호실)
상서령 : 국가문서담당(국가정보원)

태복 : 황제의 마차담당

태상 : 황실의 종묘제사담당

대홍로 : 국가외무담당(외교통상부장관)

광록대부 : 공신들에게 수여되는 명예직
중서령 : 국가 조칙정령담당(행정자치부장관)

어사중승 : 관료감찰, 탄핵담당(감사원)

집금오 : 수도의 치안담당

소부 : 황실의 의식, 행사담당
비서령 : 궁중도서관리

시중 : 군주의 비서

유부장사 : 승상대리역할

태학박사 : 관리의 자제교육
알자복사 : 관료의 인사담당

도위 : 군대관리

황문시랑 : 상서주사담당

태사령 : 역사서편찬 및 관리담당
낭중 : 포고문의 작성

종사중랑 : 관사담당

장사 : 관리책임

사마 : 병사관리

태악령 : 제사음악

대창령 : 곡물수납

무고령 : 무기정비

위사령 : 위사통솔
주부 : 서무담당

간의대부 : 고문역할

시랑, 중랑 : 궁의 서전문수위

장군 직위 (서열)

대장군 : 국가의 전군대 통솔

위장군, 거기장군 : 대장군 다음의 장군 직위

사정장군 : 정서, 정동, 정북, 정남장군을 말함, 고위 장군직

사진장군 : 진서, 진동, 진북, 진남장군을 말함, 고위 장군직

사안장군 : 안서, 안동, 안북, 안남장군을 말함, 고위 장군직

사장군 : 좌장군, 우장군, 후장군, 전장군을 말함, 사안장군의 아래 장군직

잡호장군 : 위동장군, 위서장군, 편장군, 비장군과 같이 격이 낮은 장군직


** 이상 삼국시대의 문무관 주요관직과 직위(서열)을 열거해봤습니다. 좋은 정보가 되었으면 합니다.**


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
,